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23년 문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23년번 문단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73180><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야쿠르트 혼샤 로고.svg 야쿠르트 혼샤 | 과거 모기업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일본국유철도 · 파일:external/sankei.jp/logo_01.gif 산케이 신문 ||
|| 일본시리즈 우승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
|| 리그 우승
(9회)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
|| 시즌별 요약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경기장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
|| 현역 선수 경력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
||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
|| 주요 인물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주장 야마다 테츠토 · 선수회장 오가와 야스히로 ||
|| 구단 상세 정보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
|| 관련 틀 ||<bgcolor=#96c800,#96c8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Tokyo Yakult Swallows
東京(とうきょうヤクルトスワローズ
구단 법인명㈜야쿠르트 구단
(株式会社ヤクルト球団)
창단1950년 1월 25일(74주년)
연고지도쿄도
구단 연고지 변천도쿄도 (1952~)
구단명 변천코쿠테츠 스왈로즈 (1950~1965)
산케이 스왈로즈 (1965)
산케이 아톰즈 (1966~1968)
아톰즈 (1969)
야쿠르트 아톰즈 (1970~1973)
야쿠르트 스왈로즈 (1974~2005)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06~)
홈 구장고라쿠엔 스타디움 (1950~1963)
메이지진구 야구장 (1964~)
2군 구장야쿠르트 토다 구장 (1977~)
모기업야쿠르트 혼샤
단장오가와 준지 (小川淳司)
감독22 다카쓰 신고 (高津臣吾)
주장1 야마다 테츠토 (山田哲人)
킷 스폰서마제스틱
마스코트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마스코트.svg
츠바미(좌) & 츠바쿠로(우)
구단기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구단기.svg
역대
한국인 선수
박결[1] (1991~1996)
강병수[2] (2003~2008)
주강사[3] (2007~2020)
임창용 (2008~2012)
이혜천 (2009~2010)
하재훈 (2016)
역대
한국계 선수
카네다 마사이치(김경홍)[4] (1950~1964)
카네다 타카요시[5] (1958~1960)
카네다 호시오[6] (1960~1961)
니우라 히사오(김일융)[7] (1992)
홈 경기 중계 채널(CS)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외부 링크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라인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일본시리즈 우승 (6회)
1978, 1993, 1995, 1997, 2001, 2021
센트럴리그 우승 (9회)
1978, 1992, 1993, 1995, 1997, 2001, 2015, 2021, 2022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3회)
2015, 2021, 2022
교류전 우승 (2회)
2018, 2022
포스트시즌 진출 (13회)

1. 개요
2. 구단 역사
2.1. 연도별 시즌 요약 (2015년부터)
3. 팀 컬러
4. 인기 및 팬덤
5. 관중수 추이
6. 홈구장 - 메이지진구 야구장
7. 2군 시설 및 클럽하우스
8. 유니폼
9. 응원가
10. 마스코트
11. 이야깃거리
12. 선수단
13. 역대 선수
14. 역대 감독
15. 역대 성적
1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20211127_02.jpg
파일:20211127_03.jpg
20년 만의 일본시리즈 제패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프로야구단. 연고지는 도쿄. 홈구장은 메이지진구 야구장. 모기업은 대한민국에서도 유명한 일본의 식품 기업인 야쿠르트 혼샤다.

1950년 코쿠테츠 스왈로즈라는 팀명으로 창단하였다. 1965년 산케이 스왈로즈, 1966~1968년의 산케이 아톰즈, 1969년 아톰즈, 1970~1973년 야쿠르트 아톰즈를 거쳐 1974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2006년부터 연고지인 도쿄를 구단의 공식명칭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다만 도쿄 터줏대감 요미우리 자이언츠 때문에 여전히 ‘야쿠르트 스왈로즈’ 라고만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8] 팀의 상징은 제비. 팀명의 ‘스왈로스’(Swallows)는 ‘제비’라는 뜻으로, 1950년대 일본국철이 메인스폰서였을 당시에 도카이도 본선 도쿄-오사카를 달리던 특급열차의 이름인 츠바메(=제비)에서 따 온 것이다.[9] 그래서 산케이는 팀을 인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름을 갈아버렸는데, 야쿠르트 혼샤가 팀을 인수하고 이 이름을 다시 부활시켰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같이, 아니 이보다 더해 마스코트는 물론이고 팀명도 저작권이 외부에 있었으므로 아톰즈라는 이름을 무한히 쓸 수 없기는 했다. 팀 컬러는 남색, 빨간색, 연두색.[10]

센트럴 리그에서 9회, 일본시리즈에서 6회 우승했다. 일본시리즈 우승 횟수를 놓고보면 요미우리, 세이부, 소프트뱅크에 이은 4위를 기록했다. 센트럴리그 내에서는 2위로 역사적으로 요미우리, 주니치, 한신의 3강이었던 센트럴 리그 구도에서 강호의 이미지가 크지 않았던 팀 치고는 꽤나 많이 우승했다. 2012년까지 팀 통산전적은 3,803승 4,299패 288무, 승률 0.469이다. 통산 승률은 낮지만 상술했듯이 이래 봬도 2021년 기준으로 일본시리즈 최다우승 4위다. 더욱 무서운 것은 이 팀이 A클래스를 기록한 횟수가 겨우 21번이다. 즉, 그 중에서 센트럴 리그를 9번 우승했고, 일본시리즈에서 6번 우승했다는 것. 그리고 다음해 92-93시즌 이래로 29년만에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2. 구단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연도별 시즌 요약 (2015년부터)[편집]





3. 팀 컬러[편집]


타자구장인 진구를 홈으로 쓰는 팀답게 타격 중심의 팀컬러를 지니고 있다.

홈 구장인 진구는 2007년까지 좌, 우측폴대까지의 거리가 91m에 불과해 좌우측 펜스가 가장 짧은 사직 야구장(95m)보다 더 작은 구장이었다. 2007 시즌 후 10억 엔을 들여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했고 양쪽을 98m로 확장하였으며 외야 펜스 높이를 3.5m에서 4.5m로 높이는 등 일부 변화를 주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일본 프로야구 1군 홈구장들 중에서는 가장 홈런이 잘 나오고 타자친화적인 구장이다.

덕분에 홈런타자를 중심으로 한 뻥야구를 팀 컬러로 삼고 있는데, 특히 외야가 좁아서 수비하기는 편한 덕에 외야수비는 허접하지만 장타력이 뛰어난 선수들을 용병으로 많이 데려오고, 이 선수들의 허접한 수비는 아예 공이 외야로 못 나가도록 땅볼투수들을 데려와 메꾸는 편이다. 다만 아무리 땅볼투수라 할지라도 BABIP은 타자에 비해 운빨을 좀 더 타는 만큼장타선이 강점이고 상대적으로 투수진이 약점인 팀. 팀 입장에서 점수를 억제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아예 아무 일도 일어나지 못하도록 삼진율 높은 파이어볼러들을 데려오는 것이지만, 이런 투수들은 당연히 몸값이 비싸기 때문에 지갑이 얇은 구단 사정상 차선책으로 땅볼 투수들을 택하는 것이다. 사실 장타력도 좋고 수비도 좋은 외야수들도 당연히 찾아보면 있기야 하지만, 역시 둘 다 잘하는 선수들은 몸값이 비싸기 때문에 택하는 고육지책.

모기업도 그리 큰 기업이 아닐 뿐더러 구단 역시 수익이 크지 않기 때문에, 구단이 지갑이 얇은 편이다. 그래서 용병 스카웃에 힘을 쏟는 구단 중 하나인데, 저렴한 가격에 전력상승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 국내 선수는 FA로 사들이려면 장기계약을 줘서 수억 엔에서 수십억 엔을 쏟아부어야 하지만, 용병은 어떻게 잘 뽑아오면 1년에 몇천만 엔에서 1~2억엔 정도로 가성비 대박을 치기도 쉽기 때문.뭐 몇 년 쓰다가 요미우리로 가기는 하는데... 요미우리나 한신 같은 빅클럽 역시 용병을 좋아하지만, 이런 팀들은 메이저 경력이 있다던지 일본 타 팀에서 활약을 했다던지 해서 실력이 검증이 된 선수를 비싼 값에 사오는 것을 좋아하는데, 야쿠르트는 멕시칸리그나 독립리그, 마이너리그 낮은 레벨 등에 스카우트를 보내 포텐셜이 있지만 아직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무명 선수를 싼 값에 스카우트하는 도박성 스카우트를 즐겨 한다. 이런 식의 스카우트로 대박을 친 경우가 메이저 경력이 없던 토니 바넷, 한국에서 영입한 임창용, 대만 리그에서 영입한 올랜도 로만, 멕시칸 윈터리그에서 데려온 스캇 맥거프 등. 과거에는 이런 차원에서 한국리그에도 눈독을 들여 임창용, 이혜천, 다니엘 리오스 등을 영입하였고 배영수의 영입전에도 참가하기도 했었다. 2010년대 이후 한국리그가 몸값이 올라간 현재에는 한국과는 좀 멀어진 상태.

신인 드래프트 역시 검증된 최고의 유망주들보다는 그보다 한 급 낮은 선수들, 주로 포텐셜은 뒤지지 않지만 작은 체구나 수술 경력 등의 단점으로 약간의 리스크가 있는 선수들을 즐겨 선발하는 편이다. 이런 선수들은 저런 리스크 때문에 다른 팀에서 잘 안 뽑아가니 포텐셜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순번에 지명할 수 있고, 또 리스크를 빌미로 계약금을 깎을 수 있으니 성공만 한다면야 어마어마한 가성비 대박이 보장되기 때문. 이런 식의 지명으로 대박을 친 케이스가 아오키 노리치카, 오가와 야스히로 같은 선수들.

또한 홈 구장이 오래되었고, 인조잔디의 질도 썩 좋은 편이 아니고 2군 시설 역시 낙후된 편이라 선수들이 부상을 많이 당하는 편이라 이 역시 일종의 팀 컬러의 일부가 되어 있다. 야전병원(野戦病院)에 야쿠르트의 야를 합친 야전병원(ヤ戦病院)이라는 농담까지 돌 정도.

이래서 전력이 매년 안정되지 못한 편이다. 투수들의 성적은 시즌마다 BABIP의 영향을 받고, 용병과 신인선수 선발은 매년 도박성인 데다가, 선수들도 부상을 많이 당해 실려나가니 끗발이 제대로 터지는 해와 불발탄으로 끝나는 해가 극명하게 갈리는 팀. 실제로 2013년-2014년 2년 연속 꼴찌를 하던 팀이 2015년에는 갑자기 리그 우승팀으로 튀어올랐고, 또 다음해부터 5위-6위를 하다가 갑자기 2위로 또 튀어오르고, 또 2년 연속 꼴찌를 하고서는 갑자기 2년 연속으로 우승을 해버리는 등 전력이 안정되지 못하게 오르락 내리락하는 팀이다. 저점도 고점도 엄청난 팀으로 언제든 꼴찌를 할 수 있지만 언제든 우승을 할 수도 있는 도깨비 팀으로 매년 시즌 전마다 다크호스로 분류되는 팀이다.

4. 인기 및 팬덤[편집]


같은 연고지요미우리 자이언츠에 비해 팬이 적은 편이다. 대부분의 경우 메이지진구 야구장 홈 경기에서도 원정 온 구단의 팬들이 더 많다고 한다. 전반적인 인기도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와 더불어 센트럴 리그 구단 중에선 인기가 없는 편에 속한다. 심지어 2019년 요코하마가 야쿠르트도 못 해본 200만명 이상의 관중동원을 기록하면서 아예 바닥을 찍었다. 특히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아예 그냥 한신 홈구장처럼 되어버린다. 비슷한 예로 요코하마 스타디움오릭스 버팔로즈의 홈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도 한신전이 있는 날에는 한신 팬들의 숫자가 더 많아서 한신 홈구장이 되어 버린다. 게다가 2013년 이후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 경기에서도 히로시마 팬들이 더 많이 올 정도.

전국구까지는 아니어도 해당 지역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주니치 드래곤즈히로시마 도요 카프와는 달리, 공룡 구단 요미우리가 먹다 남긴 것이나 다름 없는 도쿄에 팬베이스를 갖고 있으니 오히려 빅마켓에 자리한 것이 불리한 상황. 하지만 안티 교진을 내세우며 요미우리를 싫어하는 도쿄 사람들을 팬들로 끌어들여 독자적인 팬베이스를 구축하고 있고[11] 성적도 어느 정도는 나오는 편이고, 무엇보다 도쿄 한복판에 위치해 미디어의 관심도 어느 정도 있는 편이라 도쿄 돔에 있을 때의 닛폰햄 파이터즈, 오사카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사이권 미디어로부터 패싱당하는 오릭스 버팔로즈보다는 상황이 나은 편이다. 하지만 닛폰햄이 홋카이도 삿포로시로 옮긴 뒤로는 닛폰햄이 오히려 홋카이도의 야구팬들을 그대로 물려받았으며, 2022년까지 구장을 빌려 써야 하는 건 매한가지였지만 2023년부터 구단이 직접 관리하는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개업으로 2030년까지 메이지 신궁에서 구장을 빌려 써야 하는 야쿠르트에 비해 상황이 훨씬 나아졌다.

이렇게 보면 야쿠르트도 인기가 가장 높은 도도부현이 있겠나라는 의문이 들겠지만, 사실 있다. 나가노현인데, 현 내에서는 야쿠르트를 응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다. 나가노현야쿠르트의 개발자이자 창업자인 시로타 미노루(1899~1982)의 출생지이기 때문.[12]

인기가 적다 보니 진구 구장에 한신 타이거스 기념품가게가 먼저 들어왔다는 루머가 퍼지기도 했는데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 정확히는 진구 구장 내에는 어느 구단의 기념품점도 없다. 아마추어 야구 진흥 목적으로 만들어진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기 위해 특정 구단의 기념품점 입점을 금지시켜 놓았기 때문.

위의 한신 기념품점 얘기가 와전된 것은 진구 구장 길목에 한신 팬클럽 소유 점포가 있는데 이게 진구 구장에서 제일 가깝고, 스왈로즈가 코쿠테츠 시절에는 공식 기념품점을 운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

그래서 야쿠르트 구단에서는 시합 시작 4시간 전부터 종료후 1시간까지 임시 천막을 세워 기념품을 팔고 있다. 그리고 2014년 5월 25일 구장 밖의 가까운 곳에 공식 기념품점을 개설했다. 정식명칭은 야쿠르트 공식 굿즈샵 1호점 스타디움거리점으로 가이엔마에역에서 진구 구장으로 가는길 도중 오른쪽을 보면 계단을 조금 내려가 반지하식으로 있다. 2019년 현재는 맞은편 지상 매장으로 이전했다. 기존 매장보다 조금 더 내부가 넓어졌다.

파일:photo_official_tsubakurou_2017.jpg
파일:photo_official_stadium_st_2019.jpg
야쿠르트 공식 굿즈샵 츠바쿠로점 / 진구 구장점

그리고 7월 21일에는 2호점인 츠바쿠로점이 오픈했다. 진구 구장 뒤쪽으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 반대편으로 조금 올라가다보면 입구 간판이 보이고 안쪽으로 들어가면 바로 보인다. 츠바쿠로점의 특징은 이름에 맞게 중앙에 서있는 사람 키만한 마스코트 츠바쿠로 인형. 홈경기가 있는 날 인형과 함께 사진찍는 사람들을 심심찮게 볼수 있다.

한편 진구 구장은 수도권 구장중에서는 표값이 가장 싼 편으로, 요미우리, 한신이 원정을 왔을 때만 지정석을 살짝 올려받긴 하지만 그 올려받은 게 다른 구장이랑 비슷한 수준의 저렴함을 자랑한다. 티켓 가격과 먹거리 가격[13]에 있어서는 굉장히 양심적인 운영을 하는 편. 게다가 거인/한신 올려받는것도 귀여운 수준인게,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정작 한신전인 경우는 가장 싼 지정석이 아예 없어진다. 그리고 도쿄 돔은 어린이 요금도 없어서 가족끼리 가도 짤없이 성인요금 다 내고 봐야 하기 때문에 난민마냥 제대로 보기도 힘든 입석을 논외로 치면 일본내에서 가장 비싸게 받는 수준이며, 한신의 경우도 요미우리 원정에 한해서 특별요금이 적용되는 등, 인기 카드 특별요금이 있다고 해서 진구 구장이 비싸다는 건 그야말로 사실왜곡 수준.

그 올려받는다는 지정석도 올린 가격으로 1, 3루 불펜 바로 옆자리가 4천엔으로, 구장마다 특색이 있으니 1:1로 비교는 불가능하지만, 보통 다른 구단이면 기본 5-6천엔 하는 자리를 저 정도 가격에 제공한다. 다만 자리가 더럽게 좁다. 사람들이 못지나가는 건 당연하고 앉아만 있어도 앞자리 등받이가 무릎이나 정강이에 닿는 수준. 옆간격도 좁아서 양 옆으로 남자 관중이 앉으면 양쪽에서 밀려서 내 의도와는 상관없이 꼿꼿한 자세로 관람을 하게 된다. 물론 좌석 좁은건 진구 구장뿐만 아니라 일본내의 야구장 대부분이 그렇기 때문에 이것도 진구 구장 특유의 문제는 아니다. 당장 가까운 도쿄 돔만 봐도 좌석간 거리는 진구랑 별반 차이 없다.

파일:new_crew.jpg
야쿠르트 공식 팬클럽 'Swallows CREW'

공식 팬클럽은 2013년에 ‘Swallows CREW’ 이란 이름으로 리뉴얼되어 운영 중이다.

이런 야쿠르트도 전국적인 인기를 끌었던 적이 있었는데, 첫째는 70년대. 창단후 수십 년간 바닥을 기던 팀이 야쿠르트 스왈로스로 이름을 바꾸고 첫해에 3위, 이후로 성적이 슬금슬금 올라가더니 4년 후에는 창단 28년만의 첫 우승에 일본시리즈까지 차지해 버렸다. 이후 다시 암흑기에 빠져들었지만 여튼 이 때의 드라마틱함으로 이 때 팬들이 유입되었으며, 아다치 미츠루 같은 나이많은 팬들은 대부분 이 때 유입이라고 보면 된다. 이후로는 90년대의 황금기. 이 때 유입된 40대들이 지금도 팬덤의 주축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에는 도쿄에 거주하는 안티 교진 성향의 팬들, 홈구장이 있는 서도쿄 거주 주민들, 언더독 성향의 팬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5. 관중수 추이[편집]


연도별총 관중일일 평균
2012년1,322,678명18,321명
2013년1,432,695명19,899명
2014년1,438,775명19,983명
2015년1,657,511명23,021명
2016년1,779,460명25,063명
2017년1,862,731명25,871명
2018년1,927,822명27,152명
2019년1,955,578명27,543명
2020년360,593명6,010명
2021년675,258명9,379명
2022년1,614,645명22,741명
2023년1,976,151명27,447명


6. 홈구장 - 메이지진구 야구장[편집]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화이트 심볼.svg 홈구장: 메이지진구 야구장
파일:메이지진구 야구장4.jpg
파일:메이지진구 야구장_.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메이지진구 야구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홈구장은 도쿄도 신주쿠구에 위치한 메이지진구 야구장(明治神宮野球場)으로 접근성이 무척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1925년에 기공해 1926년 완공됐다. 당시 총 공사비는 53만 엔. 그 중에서 메이지 신궁 법인에서 48만 엔, 도쿄 6대학 야구연맹[14]이 5만엔의 공사비를 부담하면서 학생야구가 우선 사용권을 가지게 됐다. 그렇게 자연스레 대학야구의 성지로 발전하게 됐고, 1931년에는 도쿄 6대학 야구연맹이 공사비 55만 엔을 부담해, 내외야 관중석 증축 공사를 통해 수용인원을 4만 8,785명으로 늘렸다. 이 때부터 도쿄 6대학 야구의 전 경기를 이곳에서 치르고 있다.[15]

대학야구의 본터이면서도[16] 프로 야구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구장으로도 사용되면서 더욱 사랑 받는 구장이 됐다. 한신 고시엔 구장처럼 아마추어 야구인들의 사용이 많은 구장이라 그래서인지 센트럴 리그에서는 지방경기 일수가 요미우리한신 다음으로 많다. 매년 5~7경기를 배정하며, 그 중 에히메현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현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아키타현코마치 스타디움, 후쿠시마현후쿠시마현영 아즈마 구장 등에서 주로 개최되고 있다.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화이트 심볼.svg 2군 구장: 야쿠르트 토다 구장
파일:ヤクルト戸田球場.jpg

2군 구장은 사이타마현 토다시에 위치해 있는 야쿠르트 토다 구장. 1977년 2월 1일 개장했다.


7. 2군 시설 및 클럽하우스[편집]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화이트 심볼.svg 야쿠르트 토다 클럽하우스
파일:9fb0c7f5.jpg

2군 구장 야쿠르트 토다 구장에서 도보로도 갈 수 있는 매우 가까운 거리에 스왈로즈 토다 기숙사와 클럽하우스가 위치해 있다. 건물 내에는 실내 연습장이나 트레이닝 룸, 숙소(선수방은 3~5층[17])가 있는데, 실내연습장은 2014년 총공사비 13억 엔을 투자해 리모델링을 완료했다. 또, 근처에는 야쿠르트 육상부와 일부 럭비부원들이 이용하는 신·토다 클럽하우스가 있다.#

매년 새해 일찍 신인 합동 트레이닝을 앞둔 신인 선수의 기숙사로서 자주 매스컴을 타고 있다. 특이점으론 기숙사 식당 입구 근처에 냉장 케이스에는 매일 야쿠르트 제품이 가득 채워져 선수는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사진 보기)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2027년부터 이바라키현 모리야시로 2군 시설의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2군 개혁에 있어서는 시설의 리모델링 등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한데, 그간 야쿠르트는 2군 구장도 집중호우, 태풍 등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교통 접근성도 수도권 5개 팀 중 가장 취약한 까닭에 이전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8.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응원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응원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온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특이하게 타령조 민요를 대표 응원가로 사용하고 있다. 바로 도쿄온도(東京(とうきょう音頭(おんど)인데[18] 이 노래는 니시조 야소(西條八十: 1892~1970)가 1933년 작곡한 유행가로, 도쿄를 상징하는 노래가 되었다. 인천연안부두, 부산부산 갈매기와 비슷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득점을 하거나 7회 말에는 도쿄온도를 부르며 ‘럭키 세븐’ 응원을 할 때는 팬들이 비닐우산을 펴서 응원한다. 아래 항목에서 민요 가락에 맞춰서 우산을 흔드는 식으로. 여기에는 수가 적은 홈팀 관중 수를 많아 보이게 하는 효과를 노렸다는 설과, 비싼 응원도구를 살 필요 없이 누구나 쉽게 응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10. 마스코트[편집]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화이트 심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마스코트
파일:스왈로즈 마스코트.jpg
츠바쿠로 / 츠바미 / 토르쿠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마스코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마스코트는 제비인 츠바쿠로[19], 츠바미[20]와 멕시코 출신의 야쿠르트를 등에 짊어지고 다니는 토르쿠야[21]가 있다. 일본프로야구 12개 구단에서 유일하게 유니폼을 입지 않은 마스코트이기도 하다.


11. 이야깃거리[편집]



파일:6efe25f48d410999dc6812f7a015fed6.jpg


파일:external/4902331ffa82f29aae3b392f60f29ca7231f6a9e3a65e77ad160392e60f5ecd5.jpg

파일:아다치야쿠르트.jpg










파일:bg_sp.jpg



12. 선수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선수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역대 선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역대 선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
1950년 ~ 현재
||
||<width=20%> 1대
니가사키
파일:일본 국기.svg
(1950~1953) ||<width=20%> 2대
후지타
파일:일본 국기.svg
(1954~1955) ||<width=20%> 3대
우노
파일:일본 국기.svg
(1956~1960) ||<width=20%> 4대
스나오시
파일:일본 국기.svg
(1961~1962) ||<width=20%> 5대
하마자키
파일:일본 국기.svg
(1963) ||
||<width=20%> 6대
하야시
파일:일본 국기.svg
(1964~1965) ||<width=20%> 7대
이이다
파일:일본 국기.svg
(1966~1967) ||<width=20%> 8대
벳쇼
파일:일본 국기.svg
(1968~1970) ||<width=20%> 9대
미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1971~1973) ||<width=20%> 10대
아라카와
파일:일본 국기.svg
(1974~1976) ||
||<width=20%> 11대
히로오카
파일:일본 국기.svg
(1976~1979)
||<width=20%> 12대
타케가미
파일:일본 국기.svg
(1980~1984) ||<width=20%> 13대
도바시
파일:일본 국기.svg
(1984~1986) ||<width=20%> 14대
사키네
파일:일본 국기.svg
(1987~1989) ||<width=20%> 15대
노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90~1998)
||
||<width=20%> 16대
와카마츠
파일:일본 국기.svg
(1999~2005)
||<width=20%> 17대
후루타
파일:일본 국기.svg
(2006~2007) ||<width=20%> 18대
다카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8~2010) ||<width=20%> 19대
오가와
파일:일본 국기.svg
(2011~2014) ||<width=20%> 20대
마나카
파일:일본 국기.svg
(2015~2017)
||
||<width=20%> 21대
오가와
파일:일본 국기.svg
(2018~2019) ||<bgcolor=#e0ffdb,#073300> 22대
타카츠
파일:일본 국기.svg
(2020~)
||<width=20%> ||<width=20%> ||<width=2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역대 감독
대수 한글명 일본어 재임기간 연수 비고
고쿠테츠 스왈로즈
1대니시가키 토쿠오西垣徳雄1950 ~ 19534년
2대후지타 소이치藤田宗一1954 ~ 19552년
3대우노 미츠오宇野光雄1956 ~ 19605년
4대스나오시 쿠니노부砂押邦信1961 ~ 19622년1차
5대하마자키 신지浜崎真二19631년
6대하야시 기이치林義一1964 ~ 1965년 4월 27일1년 4개월1965 시즌 도중 퇴임
산케이 스왈로즈
7대스나오시 쿠니노부砂押邦信1965년 4월 27일 ~ 동년 잔여 시즌6개월2차, 시즌 도중 팀 명칭 변경
(고쿠테츠→산케이)
8대이이다 토쿠지飯田徳治1966 ~ 19672년
9대벳쇼 다케히코別所毅彦1968 ~ 1970년 8월2년 8개월1969년 팀 명칭 변경
(산케이 아톰즈→아톰즈)
1970년 팀 명칭 변경
(아톰즈→야쿠르트 아톰즈)
1970년 시즌 도중 해임. 잔여 경기는 오가와 요시하루가 대행
야쿠르트 아톰즈
10대오가와 요시하루小川善治1970년 8월 ~ 동년 잔여 시즌3개월감독 대행
11대미하라 오사무三原脩1971 ~ 19733년
12대아라카와 히로시荒川博1974 ~ 1976.53년1976년 시즌 중 해임
잔여 경기는 히로오카 타츠로가 대행
야쿠르트 스왈로즈
13대히로오카 타츠로広岡達朗1976.5 ~ 1979.84년 3개월1976년 시즌은 감독대행
팀 역사상 최초의, 1978년 센트럴 리그, 일본시리즈 우승감독
1979년 시즌 도중 사임. 잔여 경기는 사토 타카오가 대행
14대타케가미 시로武上四郎1980 ~ 1984.44년 4개월1984 시즌 도중 퇴임
1984년 5월 하순까지는 나카니시 후토시가, 그 후 대행의 대행으로 도바시 마사유키가 시즌 종료 때까지 대행
15대도바시 마사유키土橋正幸1984.5 ~ 19862년 7개월1984년 시즌은 감독대행
16대세키네 쥰조関根潤三1987 ~ 19893년센트럴 리그 최후의 1920년대생 감독
17대노무라 카츠야野村克也1990 ~ 19989년1992~1993년, 1995년, 1997년 센트럴 리그 우승 감독
1993년, 1995, 1997년 일본시리즈 우승 감독
18대와카마츠 츠토무若松勉1999 ~ 20057년2001년 센트럴 리그, 일본시리즈 우승 감독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9대후루타 아츠야古田敦也2006 ~ 20072년선수 겸 감독
20대타카다 시게루高田繁2008 ~ 2010.52년 5개월팀 사상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감독
2010년 시즌 도중 해임. 잔여 경기는 오가와 준지가 대행
21대오가와 준지小川淳司2010.5 ~ 20143년 7개월2010 잔여 시즌은 감독 대행
22대마나카 미쓰루真中満2015 ~ 20173년2015년 센트럴 리그 우승 감독
2017년 구단 사상 시즌 최다패 감독
23대오가와 준지小川淳司2018 ~ 20192년2차
24대다카쓰 신고高津臣吾2020 ~2021~2022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감독
2021년 일본시리즈 우승 감독


15. 역대 성적[편집]


­리그 우승[28]
­2위
­3위
B클래스

연도정규시즌 순위최종순위팀이름경기수승률포스트시즌
19507위/8팀7위고쿠테쓰 스왈로즈13842942.309
19515위/7팀5위10746592.438
19525위/7팀5위12050700.417
19536위/6팀6위12545791.363
19545위/6팀5위13055732.430
19555위/6팀5위13057712.445
19564위/6팀4위13061654.485
19574위/6팀4위13058684.462
19584위/6팀4위13058684.462
19594위/6팀4위13063652.492
19606위/6팀6위13054724.431
19613위/6팀3위13067603.527
19626위/6팀6위13451794.392
19634위/6팀4위14065732.471
19645위/6팀5위14061745.452
19656위/6팀6위산케이 스왈로즈14044915.326
19665위/6팀5위산케이 아톰즈13552785.400
19675위/6팀5위13558725.446
19684위/6팀4위13464664.492
19695위/6팀5위아톰즈13058693.457
19706위/6팀6위야쿠르트 아톰즈13033925.264
19716위/6팀6위13052726.419
19724위/6팀4위13060673.472
19734위/6팀4위13062653.488
19743위/6팀3위야쿠르트 스왈로즈13060637.488
19754위/6팀4위13057649.471
19765위/6팀5위130526810.433
19772위/6팀2위130625810.517
19781위/6팀우승130684616.596일본시리즈 (4-3 vs 한큐)
19796위/6팀6위130486913.410
19802위/6팀2위130685210.567
19814위/6팀4위130565816.491
19826위/6팀6위130457510.375
19836위/6팀6위13053698.434
19845위/6팀5위13051718.418
19856위/6팀6위130467410.383
19866위/6팀6위13049774.389
19874위/6팀4위13058648.475
19885위/6팀5위13058693.457
19894위/6팀4위13055723.433
19905위/6팀5위13058720.446
19913위/6팀3위13267632.515
19921위/6팀우승13169611.531일본시리즈 (3-4 vs 세이부)
19931위/6팀우승13280502.615일본시리즈 (4-3 vs 세이부)
19944위/6팀4위13062680.477
19951위/6팀우승13082480.631일본시리즈 (4-1 vs 오릭스)
19964위/6팀4위13061690.469
19971위/6팀우승13783422.615일본시리즈 (4-1 vs 세이부)
19984위/6팀4위13566690.489
19994위/6팀4위13566690.489
20004위/6팀4위13666691.489
20011위/6팀우승14076586.567일본시리즈 (4-1 vs 킨테츠)
20022위/6팀2위14074624.544
20033위/6팀3위14071663.518
20042위/6팀2위14672642.529
20054위/6팀4위14671732.493
20063위/6팀3위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14670733.490
20076위/6팀6위14460846.417
20085위/6팀5위14466744.471
20093위/6팀3위14471721.497퍼스트 스테이지 (1-2 vs 주니치)
20104위/6팀4위14472684.514
20112위/6팀2위144705915.543퍼스트 스테이지 (2-1 vs 요미우리)
파이널 스테이지 (2-4 vs 주니치)
20123위/6팀3위144686511.511퍼스트 스테이지 (1-2 vs 주니치)
20136위/6팀6위14457834.407
20146위/6팀6위14460813.426
20151위/6팀우승14376652.539파이널 스테이지 (4-1 vs 요미우리)
일본시리즈 (1-4 vs 소프트뱅크)
20165위/6팀5위14364781.451
20176위/6팀6위14345962.319
20182위/6팀2위14375662.532퍼스트 스테이지 (0-2 vs 요미우리)
20196위/6팀6위14359822.418
20206위/6팀6위120416910.373
20211위/6팀우승143735218.585파이널 스테이지 (3-0 vs 요미우리)
일본시리즈 (4-2 vs 오릭스)
20221위/6팀우승14380594.576파이널 스테이지 (4-0 VS 한신)
일본시리즈 (2-1-4 vs 오릭스)
NPB 통산 73시즌리그우승 9회979944335030336.468일본시리즈 우승 6회


16. 둘러보기[편집]


파일:도쿄도 심볼마크_White.svg
||



[1] 일본식 이름은 아라이 키요시(新井潔). 재일교포.[2] 일본식 이름은 오하라 헤이슈(大原秉秀). 재일교포. 2군급 선수였으며 포지션은 2루-유격 센터라인. NPB에서는 2006, 2007년에 각각 13경기, 6경기를 밟은 것이 1군 기록의 전부이며 방출 후 2009년에는 한화 이글스에서 1년간 뛰었으나 1군 16경기에 그쳤다.[3] 일본식 이름은 우에다 츠요시(上田剛史). 재일교포 4세. 방출되어 은퇴하기 전까지 한국 국적을 포기하지 않은 유일한 재일교포 선수이며 2020시즌 전까지 유일한 재일교포 선수. 그 이후 재일교포 선수는 없다.[4] (金田正一).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NPB 통산 최다승, 최다 탈삼진, 최다 완투, 최다 이닝 기록 보유자.[5] (金田 高義).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카네다 마사이치(김경홍)의 친동생.[6] (金田 星雄).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카네다 마사이치(김경홍)의 친동생.[7] (新浦 壽夫).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 입단 동기인 장명부처럼 입단 당시에는 한국 국적이었으나 일본인 여성과 결혼하면서 귀화했다.[8] 자이언츠는 NPB 창설 이전인 1934년부터 1946년까지, 지바 롯데(1950년부터 1973년까지 도쿄 연고)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도쿄 명칭을 사용했다. 즉, 동시에 두 팀 이상이 ‘도쿄’라는 이름을 쓴 적은 없다.[9] 참고로 저 열차 이름 "츠바메"는 아직도 큐슈 신칸센에서 쓰고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큐슈 신칸센 이전에 같은 구간을 달리던 특급 츠바메의 이름이 신칸센이 개통하자 그쪽으로 옮겨진 것. 이 과정에서 신야츠시로역 평면환승을 이용한 릴레이 츠바메가 다니기도 했다. 그 외 JR 동일본타카사키선 전좌석 지정석 특급으로 스왈로 아카기가 있지만 운행구역 외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10] 다만 연두색은 2010년대부터 자주 쓰이게 돼서 아직까지는 서드컬러 느낌이 강한편이다.[11] 그러나 2022년 일본시리즈에서는 후지TV 나카무라 미츠히로 아나운서 등의 편파중계와 오릭스 우승회견 잘라먹기, 미디어의 지나친 관심으로 인하여 야쿠르트에 대한 반감이 늘어났다.[12] 회사 관련 지역 때문에 팀 연고지가 아니어도 인기가 있는 팀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있다. 이쪽은 세이부 그룹의 총수 일가인 츠츠미 가문의 본적지 시가현에서 인기가 좋은 편.[13] 실제로 먹거리 가격도 굉장히 양심적인 편이라, 날만 잘 걸리면 잠실야구장과 비슷한 가격에 맥주를 마실 수 있다.[14]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도쿄대학, 릿쿄대학, 메이지대학, 호세이대학의 6대학이 1925년 결성.[15] 출처 [16] 12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서도 사용된다.[17] 방크기는 12畳으로 기숙사에 입소한 신인선수들의 인터뷰에 의하면 선수 혼자 쓰기에 비교적 넓은 편이다고 한다.링크
파일:戸田寮1.png
[18] 온도(音頭)는 2/2박자를 가진 일본 전통 민요로서 한국에서는 선창(先唱, 노래나 구령을 앞서서 부르는 것.)으로 번역된다. 주로 마츠리 같은 축제때 들을수 있는 노래인데, 큰북을 두드리면서 한명이 선창을 하면 주위 사람들이 제창으로 추임새를 넣는 노래다. 여기서 선창을 하는 사람의 명칭이 音頭였고 이것이 장르의 명칭이 되었다. 각 지역마다 이런 온도가 존재한다. 당연히 도쿄 온도는 도쿄 지방에서 불리는 온도를 말한다.[19] つば九郎, 등번호는 이름에서 따온 2896.[20] つばみ, 등번호는 이름에서 따온 283[21] トルクーヤ, 야쿠르트를 거꾸로 뒤집은거다. 등번호는 역시 이름에서 따온 0698.[22] 일본인 최초로 당시 최고구속인 158Km를 찍은 강속구 투수이자 작중에서 언급되는 '시속 160km를 던질 수 있는 남자'. 재미있는 것은 이가라시 료타가 2008년 부상으로 빠지면서 마무리 투수의 공백을 임창용선수가 메우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가라시는 메이저 리그에 도전했다 실패한 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나름 잘 활약한 후 많은 나이로 인해 퇴출되어 선수생활을 마무리짓게 되는가 싶더니, 친정팀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복귀하게 되었다![23] 뭐 그다지 나쁘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 1986년 월드 시리즈때도 자기가 회장인 리그의 팀이 이겼음에도 자기가 좋아하는 빨강양말 팀이 졌다고 한다.[24]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22년 주전 포수인 나카무라 유헤이가 물려받으면서 팀내 최고 포수에게 주는 번호로 바뀌었다.[25] 2016년 이후로 팀내 최고의 슈퍼스타이자 주장인 야마다 테츠토가 쓰고 있다.[26] 중간에 아웃이 되면 끊기지만 주루 미스로 인한 아웃은 상관없다.[27] 도쿄도 태생이다.[28] 볼드체는 일본시리즈 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7:02:59에 나무위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